티스토리 뷰

2023년 8월 1일 새만금에서 개최된 '세계스카우트 잼버리'가 파행으로 치닫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로 인해 '국제적 망신'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 새만금 잼버리 사태와 반응,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새만금 잼버리

 

 

 

 

목차
1.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2. 2023 새만금 잼버리
3. 잼버리 사태 반응
4. 잼버리 사태 원인
5. 잼버리 참가비 참가국
함께 보면 좋은 글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출처 - 부안군

세계스카우트 잼버리는 세계스카우트 연맹에서 4년마다 개최하는 대규모 청소년 국제 야영 대회입니다. 이 행사는 수많은 스카우트 대원들이 세계 각지에서 한데 모여 다양한 로컬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타국의 친구들을 사귀고 새로운 경험을 얻어가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세계스카우트 잼버리는 스카우트 운동의 핵심 가치인 자립, 협력, 환경 보호 등을 촉진하고, 세계 각국의 청소년들이 함께하는 교류와 이해를 증진하는 중요한 행사입니다. 이를 통해 젊은이들은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세계적인 스카우트 커뮤니티 안에서 서로 배우고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2017년에 유치에 성공한 2023 새만금 잼버리에는 152개 나라에서 약 4만 3000명의 스카우트들이 참가하였으며, 역대급 규모로 이루어졌습니다.

세계 잼버리

 

2023 새만금 잼버리

출처 - JTBC, YTN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에서 발생한 다양한 문제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온열 질환자 속출
폭염 속에 개막식 날부터 온열질환 환자가 쏟아졌습니다. 조직위원회가 그늘 쉼터 등을 만들었지만 부족하다는 불만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의료 시설이 열악하고 의료 인력 및 약품 부족으로 환자들이 방치되었습니다.


2. 시설 문제
장마철에 내린 빗물이 빠지지 않아 곳곳이 진흙탕이 되었습니다. 샤워실, 화장실 등 부대시설이 엉망이라는 컴플레인을 받고 있습니다. 샤워실 가림막이 부실하고, 화장실 숫자도 터무니없이 부족하다고 합니다.


3. 위생 문제
식사로 나온 달걀에 곰팡이가 발견되었습니다. 화장실 청소 및 관리가 제대로 안 돼서 참가자들이 사용을 꺼리는 상황입니다. 야영장에 모기, 화상벌레 등으로 인해 벌레에 물린 환자들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4. 물품값 인상
잼버리 내 편의점인 GS25에서 각종 물품의 가격이 비싸게 올려져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5. 세계스카우트 연맹의 대응
세계스카우트연맹에서는 잼버리 중단을 권고했습니다. 영국과 미국 등의 팀은 조기 철수를 결정했습니다. 싱가포르 팀은 야영지를 벗어나 따로 숙소를 잡아 논란에 대응하였습니다.

잼버리 사태 영상 보기

 

 

 

잼버리 사태 반응

출처 - 나무위키

1. 대회 진행 결정
지난 5일, 세계 각국 대표단이 모여 회의를 통해 예정대로 12일까지 대회를 끝까지 진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2. 대응 대책
정부는 청소, 관리, 의료 지원 인력을 추가로 투입하고 그늘막, 냉방 버스, 생수 등을 지원하는 대책을 추가로 마련했습니다. 그 결과 하루 만에 상황이 약간 나아졌다고 합니다.

 

3. 정치권 공방
여당(더불어민주당)과 야당(국민의힘)은 상호 간에 서로 책임을 떠넘기며 대응하고 있습니다. 여당은 전 정부와 도지사 등 민주당 소속 관계자들의 책임을 주장하고, 야당은 현 정부의 책임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4. 참여 스카우트 단체 반응
세계 스카우트 연맹에서는 잼버리 중단을 권고했습니다. 미국과 영국 등의 팀은 조기 철수를 결정했고, 싱가포르 팀은 따로 숙소를 잡아 야영지를 벗어났습니다. 그 외의 국가들은 끝까지 남아 잼버리를 진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5. 참여 스카우트 대원들 반응
세계스카우트연맹의 설문조사 결과, 61%가 운영에 만족한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다만 이는 이전 일본 잼버리 운영 때 나온 만족도 조사 결과(97.7%)에 비해 낮은 수준입니다.

 

6. 정부 대응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지금부터라도 열심히 보완해서 만회하겠다며, 예비비로 비상금 69억 원을 투입하는 등 조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잼버리 사태는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며 논란이 계속되고 있지만, 대회 진행을 결정하고 정부와 참가자들이 대응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정치적인 논란도 이어지고 있으며, 이후 추가적인 대응과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이 염두에 두어져야 할 것입니다.

새만금 잼버리

 

잼버리 사태 원인

출처 - 나무위키

1. 사전에 예상 가능했던 문제들
폭염, 폭우, 비산먼지, 해충, 감염 우려는 이전 국정감사에서 이미 언급된 사안으로, 이전 잼버리 행사에서도 발생했던 문제들입니다. 미리 시행한 미니잼버리에서도 유사한 문제들이 발견되었으며, 이를 미리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준비 부족과 취소

원래 본 대회가 열리기 전에 대회 준비 상황을 점검하는 '프레 잼버리'가 작년 8월에 열릴 예정이었지만 취소되습니다. 그 이유는 준비가 되지 않아서였습니다. 그리고 대회 진행 중에도 사전 준비 부족으로 인한 문제들이 계속 발생하였습니다.


3. 예산 부족과 지원 지연
조직위는 추가 예산을 요청했지만 일부만 지원되었고, 대회가 개최된 후에야 부족한 예산이 보충되기 시작했습니다.

 

4. 장소 선택 문제
새만금을 잼버리 개최지로 선택한 것에 대해 여러 논란이 있었습니다. 한여름에 야영을 하기 적절치 않은 새만금을 선택한 것이 환경 파괴 등의 논란을 일으키는 원인이 됐습니다.


이러한 여러 원인들로 인해 잼버리 대회에서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에 대한 대응과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이 드러났습니다. 사전에 예상 가능한 문제들이었던 만큼, 미리 대비하고 대응했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새만금 잼버리

 

 

 

잼버리 참가비 참가국

출처 - 뉴시스

158개국 4만 3,232명 신청 (국외 3만 9,331명 / 국내 3,901명)

참가비 1,030,000원 (1백3만 원)

총 금액 보증금 잔액
1,030,000원 (약 900달러) 300,000원 (약 262달러) 730,000원 (약 638달러)

 

잼버리 참가비

 

 

실시간 엔화 환율 계산기 엔화 환율 조회 엔환율

일본은 통화 완화 정책을 고수하고 있어 엔화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저하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제 상황에서 지속되는 엔저현상은 여행자들에게 큰 이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

4.funninilif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