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이슈

콘크리트기사 합격률 난이도 필기시험 실기시험

놓치지 마세요 2023. 7. 20. 08:00

취업난이 이어지며 기술 습득해 직종을 변경하거나, 평생 직장을 꿈꾸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그 중에서도 콘크리트기사는 많은 사람들이 도전하는 유망 직종 중 하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콘크리트기사 자격증합격률, 난이도,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콘크리트기사

 

 

 

목차
1. 콘크리트기사
2. 콘크리트기사 합격률 난이도
3. 콘크리트기사 필기
4. 콘크리트기사 실기
5. 콘크리트기사 기능사 산업기사 차이
함께 보면 좋은 글

 

 

 

콘크리트기사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콘크리트기사 자격증은 국토교통부가 관리하는 기사 자격증 중 하나이며,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는 토목 분야의 자격증입니다. 이 자격증은 주로 4년제 대학의 건축공학과나 토목공학과 전공자들이 취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건축기사나 토목기사와 같은 "메인" 기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 응시하는 "서브" 개념의 자격증입니다.

 

콘크리트기사 자격증은 건설 및 토목 분야에서 종사하는 비전공자들 중에도 인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건설기술인협회 초급기술자 수첩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콘크리트기사를 많이 취득합니다. 콘크리트기사 자격증은 필기 과목 수가 적어서 학습량이 비교적 적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기사 자격증과 비교했을 때 비교적 쉽게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또한, 건설기술인협회에서는 콘크리트기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들에게 건설 기술 역량지수로 30점을 부여합니다. 이는 콘크리트기사 자격을 소지하면 건축 및 토목 분야에서 초급기술자로서의 자격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콘크리트기사는 가성비가 좋은 기사 자격증으로 평가되며, 건설재료시험기사 자격증을 얻기 어려운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콘크리트기사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콘크리트기사 시험은 필기시험, 필답형 시험, 작업형 시험으로 구성됩니다. 다른 기사 자격증과는 달리, 산업기사와 기사의 시험 과목은 동일합니다. 이러한 시험 구성을 통해 콘크리트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산업 분야에서 콘크리트에 대한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갖춘 기술자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기사

 

 

 

콘크리트기사 합격률 난이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콘크리트기사 시험의 합격률과 난이도는 시험 회차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필답형 시험의 난이도는 매 회차마다 편차가 있을 수 있으며, 특정 회차에는 신출문제가 대량 출제되어 합격률이 낮게 나오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4년 3회차에는 신출문제가 대량으로 출제되어 합격률이 30% 미만으로 기록된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는 해당 시험 회차에서의 문제 출제와 응시자의 대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결과입니다.

콘크리트기사 필기시험
연도 접수자 응시자 합격자 합격률
2004 ~ 2016 34,006 22,758 7,424 32.6%
2017 3,058 1,873 704 37.6%
2018 2,940 1,788 631 35.3%
2019 2,988 1,797 646 36.9%
2020 2,629 1,719 526 30.6%
2021 3,750 2,192 727 33.3%
2022 4,300 2,358 744 31.6%
합계 53,671 34,475 11,402 33.0%

 

콘크리트기사 실기시험
연도 접수자 응시자 합격자 합격률
2004 ~ 2016 9,398 8,424 5,361 63.6%
2017 1,099 999 588 58.9%
2018 976 858 514 59.9%
2019 1,004 882 547 62.0%
2020 949 834 467 56.0%
2021 1,049 929 610 65.7%
2022 1,156 1,040 530 51.0%
합계 15,631 13,966 8,617 61.6%

 

 

콘크리트기사 필기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1. 콘크리트 재료 및 배합: 이 과목은 콘크리트에 대한 기본 이론과 배합설계에 관한 내용을 다룹니다. 배합설계는 필답형과 작업형 문제에 반드시 출제되며, 산업기사와 건설재료시험기사에서도 자주 출제됩니다. 배합설계 문제에서는 잔골재율 등을 고려하여 계산해야 하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2. 콘크리트 제조, 시험 및 품질관리: 이 과목은 콘크리트 제조, 시험, 품질관리에 관련된 내용을 다룹니다. 간단한 통계학적 지식이 요구되며, 예를 들어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표준편차나 변동계수를 계산하는 문제 등이 출제될 수 있습니다. 이 과목은 콘크리트기사 과목 중에서 상대적으로 쉬운 과목으로 평가되며, 시공 과목에 약한 분들에게는 고득점을 확보하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3. 콘크리트의 시공: 이 과목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 기재된 시공기준을 암기하여 문제를 푸는 과목입니다. 시방서에 기재된 내용을 외워야 하며, 다양한 구조물에 대한 콘크리트의 부재 치수 등을 외워야 합니다. 필답형 문제로 출제되므로, 시방서를 외워야 한다고 하더라도 모든 내용을 외우는 것은 어려울 수 있지만, 최소한 수험서에 요약된 내용을 암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콘크리트 구조 및 유지관리: 이 과목은 콘크리트 구조설계와 유지관리에 관련된 내용을 다룹니다. 보강공법, 철근 부식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며, 계산 문제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철근비, 균형철근비, 최대철근비, 휨강도 등의 계산을 해야 하는데, 계산이 어렵다면 불합격의 위험이 있습니다. 이 과목은 실기시험에서도 유사한 형식으로 출제되기 때문에 충분한 공부가 필요합니다.

 

각 과목은 필기시험에서 문제 유형과 난이도는 시험 회차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식적인 출처나 기관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통해 최신 정보와 출제 경향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콘크리트기사 실기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콘크리트기사 실기시험은 필답형과 작업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콘크리트기사 실기시험에서는 연습과 답안 작성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업형 시험에서는 작업 순서에 따라 점수가 부여되므로,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필답형: 필답형 시험은 주관식으로 문제를 푸는 형식입니다. 일반적으로 9~11문제가 출제되며, 콘크리트 구조 및 유지관리에서 나오는 계산 문제가 주로 출제됩니다. 필답형 시험의 난이도는 시험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계산 문제에서는 단위를 정확하게 기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작업형: 작업형 시험은 NCS(직업능력개발표준) 개정 이후 도입된 형식입니다. 작업형 시험은 크게 세 가지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슬럼프 시험 및 공기량 시험, 잔골재 밀도시험 및 배합설계, 비파괴시험(슈미트 해머).

 

2-1. 슬럼프 시험 및 공기량 시험

이 과정에서는 재료를 계량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슬럼프 시험과 공기량 시험을 진행합니다. 슬럼프 시험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며, 공기량 시험은 콘크리트 내의 공기 함량을 측정합니다.

 

2-2. 잔골재 밀도시험 및 배합설계

이 과정에서는 잔골재의 밀도시험을 수행한 후, 얻은 밀도값을 바탕으로 배합설계 문제를 푸는 과정입니다. 산업기사와의 차이점은 콘크리트기사 실기에서는 배합강도를 계산하고 물-결합재비 계산 후 보정을 진행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2-3. 비파괴시험 (슈미트 해머)

이 과정에서는 시편에 일정 간격으로 작도를 하고, 슈미트 해머를 사용하여 시편을 타격합니다. 슈미트 해머로 측정한 반발경도 값을 읽어 답안지에 작성합니다. 평균값을 구한 후, 타격각도에 따른 각도 보정값을 적용하여 반발경도를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압축강도를 산출합니다. 비파괴시험은 결과치 점수에 큰 비중을 가지므로 답안지 작성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콘크리트기사 기능사 산업기사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필기시험: 산업기사와 콘크리트기사의 필기시험은 동일한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산업기사의 필기시험은 주로 단답형이나 객관식 문제로 출제되어 계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식을 암기하면 대부분의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반면에 콘크리트기사의 필기시험은 주관식 문제로 출제되며, 배합설계 문제에서 잔골재율 등을 고려하여 계산해야 하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실기시험: 산업기사와 콘크리트기사의 실기시험은 형식과 난이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콘크리트기사의 작업형 시험은 작업 순서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고,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시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작업형 시험에서는 실제 작업 과정에서의 정확성과 체계성이 중요합니다.

 

 

 

푸바오 아이바오 러바오 에버랜드 판다랜드 쌍둥이 출산

얼마 전 에버랜드 판다월드에서 푸바오의 동생인 판다 쌍둥이가 태어나 큰 화제가 되어 있습니다. 현재 러바오, 아이바오, 푸바오 세 마리의 판다는 에버랜드 판다월드에서 관람할 수 있으며,

4.funninilife.com